국제수영연맹(FINA : Fede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 Amateur) 경기장 규정
1. 거리
수영장 길이가 50m인 경우 전자 계시 장치의 터치 판(Touch panel)이 출발선과 반환선에 있으며, 출발과 반환의 터치 판 사이의 거리가 정확히 50m가 되어야 한다. 단, 터치 판을 영구적으로 설치할 경우가 아니라 이동식 터치 판을 설치해야 할 경우에는 50.01m 이어야 하며 허용범위를 넘겨서는 안 된다. 수면아래 0.8m부터 수면 위 0.3m 사이에서 측정하여 0.00m부터 0.03m 추가가 허용된다. (50.00~50.03m) 이러한 측정은 측량사 또는 심판에 의해 공인되어야만 하며, 수영장 공인을 인증하는 계측자는 국내에서 공인된 측량기사이어야만 한다.
2. 수심
올림픽 및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다목적 경기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수심이 최소 2m 이상이여야 하고 권장되는 수심은 3m이다.
3. 수영장 벽
수영장의 끝 벽면은 평행을 이루고 각각의 코스와 수면과는 직각을 이루어야 한다. 벽면은 단단해야 하며, 선수가 터치(Touch)와 턴(Turn)이 가능할 수 있게 수면 아래 0.8m까지 표면이 미끄럽지 않고 고형 물질로 시공되어 선수가 터치나 턴을 하여도 밀고 나가는데 지장이 있어서는 안 된다. 배수구는 4개의 수영장 벽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출발대 벽쪽에는 터치 판 설치 관계로 배수구를 벽면 끝에 설치 할 경우, 수면으로부터 0.3m 위에 위치해야 하며, 터치패드의 부착을 고려해야 하고 배수구는 알맞은 칸막이로 덮어야만 한다. 전자식 터치 판의 최소 규격은 가로 2.40m x 세로 0.90m x 두께 10mm이며 수면 상으로 0.30m, 수면 밑 0.60m에 설치되어야 한다. 전자장치는 각 레인마다 독자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야 하며, 터치 판의 표면은 밝은 색으로 하고 종결점이라는 선 표시를 기입하여야 한다.
4. 레인
국제규격의 8개 레인으로 되어있으며, 한 레인의 폭은 적어도 2.5m이며, 양쪽 벽면 끝 1 레인과 8 레인의 벽 사이에 최소한 50cm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 한 레인당 로프코스 전 거리에 쳐야 하며 양쪽 벽에 고정된 앵커 브래킷은 표면으로 나오지 않게 설치하여야 한다. 각 레인의 로프는 떠 있어야 하며 직경은 50~110mm가 되어야 하고 로프의 색깔은 끝에서 5m까지의 부분의 색상과 그 이외 부분의 색상과는 대조적이어야 한다.
5. 레인로프
수영장 레인이 8개일 경우, 레인로프는 코스의 전체 구간을 늘려 연결하며 양쪽 벽 오목한 안쪽에 고정되어야 한다. 레인 로프는 수면에 떠 있을 수 있게 고정되어야 하며 각각의 레인로프는 지름이 최소 0.05m 에서 0.15m의 부낭이 레인 양끝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양쪽 끝에서부터 5m 까지는 레인이 빨간색이 되어야 하며, 각각의 부낭들은 하나의 레인으로 단단하게 당겨져 있어야 한다. 수영장 레인과 로프의 색깔은 다음과 같다.
- 양쪽 끝 2개의 녹색 레인(1번/8번)
- 4개의 파란색 레인(2번/3번/6번/7번)
- 3개의 노란색 레인(4번/5번)
- 레인로프는 양쪽 끝에서 부터 정확하게 15m가 색깔로 표시되어야 한다.
- 결승레인 배정 순서는 4번-5번-3번-6번-2번-7번-1번-8번 레인 순서이다. (예선 기록 기준)
6. 출발대
출발대는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고 탄력이 있으면 안 된다. 높이는 수면으로 부터 0.5m ~ 0.75m 이고, 출발대의 면적은 미끄럽지 않은 소재로서 적어도 0.5m x 0.5m 가 되어야 한다. 출발대의 최대 경사는 10˚ 이하가 되어야 하며, 경사가 조절가능한 출발대를 사용한다. 출발대는 선수의 전진을 위한 순잡이를 앞부분과 양옆 부분에 허가된다. 만약 출발대의 두께가 0.04m 가 초과되면 양쪽 옆 부분에 최소한 0.1m 넓이의 손잡이가 있어야 하며 출발대의 앞부분 면으로 부터 0.3m 안쪽으로 0.4m 넓이의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배영 출발 손잡이는 평행하고 수직적으로 수면으로부터 0.3m ~ 0.6m 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영 출발 손잡이는 벽면에 평행하고, 벽면을 넘어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수심은 출발대가 설치된 벽면으로 부터 1.0m ~ 6.0m 사이는 최소한 1.35m 가 되어야하며, 출발대 블록 아래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벽의 표면과 평행해야 하고,벽면에서부터 앞으로 돌출되어서는 안된다.
7. 출발대 번호
각각의 출발 블록의 4개의 모든 면에 명확하게 구별되도록 번호가 표기되어야만 하며, 출발선에서 코스를 바라볼 때 1번 레인은 오른쪽과 8번 레인은 왼쪽에 위치가 된다. (단, 반대편에서 출발하게 되는 50m 경기는 예외이다.) 터치 판은 위쪽 부분에 숫자를 표기한다.
8. 배영 반환선
깃발로 이루어진 반환선은 수면으로부터 1.8m의 높이에 설치된다. 또한 출발선과 반환선 부분의 양쪽 벽면 끝에서 부터 5m 위치에 고정되어 수면 위로 걸쳐지게 된다. 구별이 용이한 표시는 출발선과 반환선으로부터 15m에 가능한 각 레인의 로프에 설치된다.
9. 부정출발 로프
부정출발 로프는 출발선으로부터 15m 위치에서 수면으로부터 1.2m 높이로 설치된다.
10. 수온
국제규격의 수온은 2009년부터 25˚ ~ 28˚를 유지하도록 규정되었다. 경기 중에 수영장의 물은 흐름이 없고 수면이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물의 뚜렷한 흐름이나 난류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물의 유입과 유출은 허용된다.
11. 조명
출발선과 반환선에서의 조명강도는 600 lux 이하가 되면 안 된다.
12. 수영복
수영복은 원래 아무런 제한이 없었으나, 물을 흡수하지 않는 기능성 소재들의 발달로 첨단 전신수영복이 등장하면서 2008년 2월 이후 1년 동안 수많은 세계 신기록들이 쓰이고 2009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서도 43개의 신기록들이 작성됨으로써 '기술도핑'이라는 논란이 일어나자 국제수영연맹(FINA)에서 수영복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만들어 2010년부터 적용하였다. 남자 수영복은 배꼽 위를 덮거나 무릎 아래로 내려가면 안 되며, 여자 수영복은 목을 덮거나 어깨를 넘지 않아야 하며, 무릎 아래로 내려가면 안 된다. 수영복 원단도 섬유소재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섬유소재는 자연소재나 합성소재를 사용하여 직물로 짜인 것을 말하며, 플리우레탄이나 네오프렌 같은 고무를 입힌 소재는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였다. 이 밖에도 수경과 수영모는 항상 착용하여야 하며, 귀마개를 착용할 수 있다.